티스토리 뷰
목차
“저축은 하고 싶은데, 매달 여유가 없어요.” 이런 고민, 해보신 적 없나요?
치솟는 물가와 불안정한 일자리 속에서, 청년들에게 돈을 모은다는 건 정말 쉽지 않아요.
하지만, 국가가 함께 적금을 들어 청년들의 돈을 모아준다는 청년도약계좌!
신청하면 198만 원, 놓치면 0원
놓치지 않고 정확히 잘 신청하기 위해서 청년도약계좌란, 최대 혜택금액, 신청대상 및 조건, 신청 기간, 은행 비교에 대해서 정리해 드릴게요!
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
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
만기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으며,
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최대 3만 3천 원의 정부기여금이 지원되며, 최대 수령 가능금액은 약 4,800만 원입니다.
이자소득에 대해 전액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고, 일부 은행은 우대금리도 제공합니다.
쉽게 말해, 정부와 은행이 함께 도와주는 목돈 마련 계좌입니다.
⬆️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공식사이트 서민금융진흥원으로 이동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최대 혜택금액
항목 | 금액 |
본인 납입금 | 월 70만 원 × 60개월 = 4,200만 원 |
정부 기여금 | 월 3.3만 원 × 60개월 = 198만 원 |
이자수익 (비과세) | 약 300~400만 원 이상 (금리 3~4% 기준, 은행마다 다름) |
총 수령 가능액 | 약 4,700만 ~ 4,800만 원 이상 |
최대 수령 가능 금액은 약 4,800만 원 수준이며,
이는 본인 납입 원금 + 정부 기여금 + 이자수익 + 비과세 혜택을 모두 포함한 금액입니다.
💡단, 주의해야 할 내용은
- 정부 기여금은 소득구간에 따라 다르며, 매달 70만 원을 정액으로 5년간 유지했을 경우 기준입니다.
- 실제 수익은 가입 시점의 은행 금리와 개인 납입액, 유지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- 정부 예산 규모와 상품 운영 상황에 따라 향후 조건이 변경되거나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.
- 신청 대상 조건(소득, 연령 등)은 매년 업데이트되므로, 본인의 자격이 되는 시점에 빠르게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대상 및 신청조건
다음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나이 조건: 가입일 기준 만 19세~34세
※ 병역이행자는 최대 6년 연장 가능 (실질적 최대 만 40세까지) - 개인소득 조건: 직전 과세연도 기준 총 급여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
- 가구소득 조건: 중위소득 250% 이하
- 금융소득 조건: 최근 3개 과세연도 중 1회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(이자+배당 2천만 원 초과)가 아닌 자
※ 육아휴직급여, 군장병 급여만 있는 경우도 신청 가능
※ 프리랜서, 자영업자도 소득 증빙이 가능하면 신청 가능
신청조건 확인 등 궁금하거나 자세한 사항은 비대면 채팅상담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⬆️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공식사이트 서민금융진흥원으로 이동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기간
- 7월 1일(화) ~ 7월 11일(금) 총 9일간 진행
- 이 기간에 신청해야 7월 계좌개설 대상이 될 수 있음
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방법
- 시중은행 방문 또는 앱 이용
-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 등 11개 주요 은행 가능
- 비대면 계좌 개설도 가능
- 온라인 신청 포털 문의/상담
- 전화 문의/상담
- 서민금융콜센터 ☎️ 1397 (평일 09:00~18:00)
청년도약계좌 가입 은행 비교
청년도약계좌는 총 11개 시중은행에서 가입 가능합니다.
은행마다 기본금리, 우대금리, 이벤트 제공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똑똑하게 비교 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기본금리와 우대금리는 매일 업데이트 변경되기 때문에 아래의 실시간 비교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
⬆️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전국은행연합회로 이동합니다.
마무리하며
청년도약계좌는 조건이 맞는다면 무조건 가입해야 합니다.
정부의 기여금, 비과세 혜택, 은행별 우대금리를 모두 더하면 5년 후 최대 4800만원의 수령금액이 생깁니다.
특히 소득이 낮은 청년일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, 조건이 맞는다면 하루라도 빨리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정부의 예산과 정책은 해마다 변동되기 때문에 지금 이 순간이 가장 확실한 기회일 수 있습니다.
미루지 말고, 오늘 바로 확인해 보세요.
'돈이 되는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t 고객센터 전화번호 (0) | 2025.07.04 |
---|